지배구조 개선이 중소기업에 가져오는 실질적 혜택

2025-05-13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국제적인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중소기업들도 이에 대한 관심과 실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환경(E)과 사회(S)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지배구조(Governance) 영역은 기업의 근간을 형성하는 핵심 요소로, 건전한 지배구조 확립이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체계적인 지배구조를 갖춘 중소기업은 위기 상황에서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국 기업지배구조원의 2023년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독립적인 이사회와 명확한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춘 중소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매출 감소 폭이 평균 12% 적었으며, 회복 속도도 약 1.5배 빨랐다. 예측 불가능한 위기가 일상화된 경영 환경에서 건전한 지배구조는 기업 생존의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배경과 전문성을 가진 이사회나 자문단을 운영하는 중소기업은 혁신과 사업 다각화에 유리하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에 따르면, 외부 전문가가 경영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은 신규 사업 진출 성공률이 약 30% 높았으며, R&D 투자 효율성도 25%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관점과 전문성을 결합한 의사결정 구조는 중소기업이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투명하고 공정한 지배구조는 우수 인재 확보와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국 경영자총협회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성과 평가와 보상 체계가 투명한 중소기업은 핵심 인재의 이직률이 업계 평균보다 18% 낮았다. 특히 MZ세대 인재들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과 경영 투명성을 중요한 직장 선택 기준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강해, 건전한 지배구조는 인재 전쟁에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가 된다.

투명한 재무 보고와 체계적인 경영 시스템을 갖춘 중소기업은 금융기관으로부터 더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배구조 평가가 우수한 중소기업은 대출 금리가 평균 0.3~0.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캐피털과 엔젤 투자자들도 투자 심사 시 지배구조 건전성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어, 건전한 지배구조는 성장 자금 확보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중소기업이 지배구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모든 요소를 한꺼번에 도입하려 하기보다 기업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기업 규모에 맞는 이사회 또는 자문단 구성부터 시작할 수 있다. 정식 이사회 구성이 어렵다면 분기별 자문회의 형태로 시작하여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정기적으로 청취하는 것만으로도 의사결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재무 및 회계 투명성 확보는 비교적 단기간에 실행 가능한 과제이다. 외부 회계감사,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 정기적인 재무 정보 공개 등은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셋째, 단계적인 지배구조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소기업의 성장 단계와 향후 계획(상장, 투자 유치, 해외 진출 등)에 맞춰 지배구조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지배구조 개선은 단기적으로는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는 과제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가치 창출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특히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쟁이 심화하는 현대 경영 환경에서 건전한 지배구조는 중소기업의 위기 대응력을 높이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타리치 어드바이져는 기업의 다양한 상황과 특성에 맞춰 법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위험을 분석한 사례를 통해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 내용으로는 사내근로복지기금, 가지급금 정리, 임원 퇴직금, 제도정비, 명의신탁주식, 기업부설연구소, 직무발명보상제도, 기업인증, 개인사업자 법인전환, 신규법인설립, 상속, 증여, CEO 기업가정신 플랜 등이 있다.

전자신문
원문보기
https://www.etnews.com/20250502000091

출처 ⓒ 전자신문인터넷(http://www.etnews.com),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남학 기업컨설팅 전문가

  • 공인재무설계사
  • 사회보험전문가
  • 보험중개사
  • 現) 스타리치 어드바이져 기업 컨설팅 전문가
  • 現) 전자신문 기업성장지원센터 전문위원
  • 前) 조세일보 기업지원센터 전문위원
  • 前) 삼성생명 법인사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