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중소기업의 상생경영

2025-05-14



ESG 경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사회(Social) 부문은 기업이 임직원, 고객, 협력사,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맺는 관계의 건전성을 의미한다. 대기업에 비해 자원이 제한적인 중소기업에게 사회적 책임 이행은 단기적으로는 부담으로 느껴지기 쉽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요한 투자이자 경쟁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중소기업이 사회적 책임 경영을 실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우수 인재 확보와 유지에 있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조직 문화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취업 트렌드가 확산되는 가운데, 잡코리아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구직자의 68%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고려하여 지원 여부를 결정한다고 응답하고 있어 중소기업이 이러한 가치를 실천은 대기업과의 인재 경쟁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을 지킬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책임 경영은 기업 이미지와 평판 향상에도 크게 기여한다. 소비자들이 제품과 서비스를 선택할 때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활동을 고려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에 의하면 소비자의 61%가 이러한 기업의 제품에 프리미엄을 지불 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중소기업의 경우 정성 있는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대규모 마케팅 예산 없이도 브랜드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지역사회와의 상생은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으로,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특정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어 지역사회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은 기업 운영의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역 인재 채용, 지역 협력업체와의 거래,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공헌 활동 등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도 안정적인 사업 환경을 제공한다.

사회적 책임 경영의 성공적인 사례로는 전북 전주의 식품제조 중소기업 P사를 들 수 있다. 2015년부터 '착한 일자리 만들기'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 회사는 장애인과 경력 단절 여성 고용을 확대하고, 지역 농가와 상생하는 원재료 조달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간식 지원 사업과 지역 노인복지관 급식 봉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 경영은 안정적인 인력 확보와 지역 내 우호적인 기업 이미지 형성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2019년 이후 연평균 22%의 매출 성장을 이루는데 기여했다. 특히 주요 유통채널과의 계약 확대와 공공조달 시장 진출에 사회적 책임 이행 실적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소기업이 사회적 책임 경영을 시작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유연근무제, 공정한 성과 평가, 직원 역량 개발 지원 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시작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으로, 우선하여 직원 복지와 근무 환경 개선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지역사회 공헌 활동은 기업의 특성과 강점을 활용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식품기업은 먹거리 지원, IT기업은 디지털 격차 해소 지원 등 기업의 전문성을 살린 활동이 지속가능성과 효과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은 단순한 비용이나 의무가 아닌,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현명한 투자이자 차별화 전략이다. 임직원, 고객, 협력사,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추구하는 사회적 책임 경영은 중소기업이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스타리치 어드바이져는 기업의 다양한 상황과 특성에 맞춰 법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을 분석한 사례를 통해 최적화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 내용으로는 사내근로복지기금, 가지급금 정리, 임원퇴직금, 제도 정비, 명의신탁 주식, 기업부설연구소, 직무발명보상제도, 기업 인증, 개인사업자 법인전환, 신규 법인 설립, 상속, 증여, ESG 경영, 기업가정신 플랜 등이 있다.

한국경제TV
원문보기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5070553

출처 ⓒ 한국경제TV(http://www.wowtv.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유택 기업컨설팅 전문가

  • 現) 스타리치 어드바이져 기업 컨설팅 전문가
  • 現) 전자신문 기업성장지원센터 전문위원
  • 前) 조세일보 기업지원센터 전문위원

서정연 기업컨설팅 전문가

  • 現) 스타리치 어드바이져 기업 컨설팅 전문가
  • 現) 전자신문 기업성장지원센터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