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국내 많은 산업은 어려움에 부딪혔다. 의료기관도 예외는 아니었다. -15.5% 역성장을 경험하며, 과거와 다른 환경에서 생존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과거에는 개원의가 생존을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개원만 하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익이 보장되는 시대를 살아왔기 때문이다.
지금의 개원가는 치열한 경쟁 속에 놓여 있다. 지역 간 격차는 더 심해질 것이고, 지역에서도 상권 간 격차가 심해지며 경영 환경은 더 악화될 것이다. 또 고객의 기대 수준은 높아지는 반면 고급 인력의 채용은 힘들어질 것이다.
앞으로의 경영 환경을 예측해보면 암담하기만 하다. 의사의 수는 늘어나고, 고객은 줄어들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고객들은 점점 스마트 해지고, 인건비와 물가는 꾸준히 상승할 것이다. 결국 국가에서 의료 수가를 높여주지 않는 한 개원의들의 고민은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다.
개인사업자로서 경영하는 병의원장의 책임이 막중하다. 압도적인 매출을 기록하지 못하면, 얼마 못 가 폐업의 길을 걸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극복해야 하며, 언제나 방법은 있기 마련이다.
병의원이 매출을 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객층을 분석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홍보하여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다. 먼저, 초진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이 좋다. 이때 초진 고객의 재진 횟수를 살펴봐야 한다. 여러 번 병의원을 방문했다는 것은 고객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재진 횟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고객이 의료 서비스에 만족한 것을 뜻한다. 고객 만족도를 높이려면 병의원의 조직관리, 환경 관리, 고객 응대 방법 등 구체적인 매뉴얼을 갖추는 것이 좋은데, 의사결정의 정확도를 높이려면 병의원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병의원은 매출을 통해 증가와 감소 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어떤 진료과목과 서비스에서 매출이 발생하는지, 매출을 발생시키는 주요 고객층은 어떤지, 목표 달성에 실패한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 매출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면, 특정 기간 동안 매출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향후 매출 추이를 예상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월의 매출을 그 월에 방문한 전체 고객 수로 나누어 환자 1인당 매출을 계산하는 객단가 분석이 있는데, 이는 병의원의 부가가치 상태를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신규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해 매출 증가와 병의원 성장을 예측할 수 있는 신규 고객 매출 분석 방법이 있다. 또 비보험 매출 비중을 파악해 특정 월의 매출 중 보험 및 비보험 매출의 비중을 파악하는 방법도 있다.
매출을 분석할 때는 신규 환자 수, 보험 매출의 비중, 회당 진료비, 경비 비율, 원장 및 직원 1인당 매출액, 인건비 비율, 재료비, 임차료 비중, 소득률,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 매출액 증가율, 차입금 의존도, 마케팅 비중 등 주요 항목을 포함해야 한다.
매출 분석은 경영에 매우 중요한 활동이기에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병의원이 매출 분석 자료를 근거로 의료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면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병의원 고객에게 적합한 홍보 마케팅 전략을 마련한다면 비용 대비 높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