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성장의 핵심 동력, 기업부설연구소 활용법

2025-07-14



기술 혁신이 기업 생존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은 현 시장 환경에서, 중소기업들의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2024년까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전담 부서는 3만 개 이상, 기업부설연구소는 4만 개가 넘어서며 우리 경제의 혁신 생태계를 튼튼히 받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들이 단순히 생존을 넘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적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생명공학 연구업체 K 사의 사례는 기업부설연구소의 잠재력을 여실히 보여준다. K 사는 연구소 설립 후 청년 연구 인력 채용 지원과 관세 감면을 통해 초기 운영 비용을 크게 절감했을 뿐만 아니라, 국책과제 수주로 안정적인 연구개발 자금을 확보하여 신약 개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냈다.

기업부설연구소의 매력은 무엇보다 다양한 정부 지원에 있다. 연구개발 비용에 대한 법인세 공제, 연구소용 부동산 취득세 및 재산세 감면, 연구개발 출연금 과세특례, 수입 물품 관세 감면 등 세제 혜택은 연구개발 비용 부담을 크게 완화한다.


인력 지원 측면에서도 미취업 청년 고용 시 최대 1년간 인건비의 50%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병역특례 제도를 통해 우수한 연구 인력을 확보할 기회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 참여 기회 확대, 기술신용보증 특례, 중소기업 판정 특별 조치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은 중소기업의 성장 가속화에 든든한 밑거름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혜택의 이면에는 철저한 관리 의무가 따른다. 정밀기계 제조업체 P 사와 IT 솔루션 기업 S 사의 엇갈린 사례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P 사는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5년간 안정적으로 연구소를 운영하며 신제품 개발에 성공했지만, S 사는 연구원 변경 사항 미신고로 기업부설연구소 자격이 취소되어 받았던 세제 혜택을 모두 반환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기업부설연구소 운영 시 대표자나 상호 변경, 업종 변화, 매출액 변동, 연구 분야 변경, 연구 공간 변경, 연구원 이직 등 변동 상황이 발생하면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한다. 이를 소홀히 하면 직권 취소와 세액공제 추징이라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또한 매년 4월에는 연구개발 활동 조사표를 제출해야 하며, 허위 신고 시 1년간 신규 설립이 제한되는 등 엄격한 규제가 적용된다.


기업부설연구소는 분명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성장을 위한 강력한 도구다. 그러나 복잡한 설립 요건과 까다로운 운영관리가 요구되는 만큼, 체계적인 준비와 철저한 사후 관리가 성공적인 운영의 핵심이다.

연구소 설립을 고려하는 중소기업은 단순히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한 목적이 아닌, 기업의 장기적 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접근해야 한다. 또한 설립부터 사후관리까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현명한 방법이다.

기업부설연구소는 단순한 제도적 혜택을 넘어, 중소기업이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까다로운 관리 요건을 부담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연구개발 문화를 정착시킬 기회로 삼는 전략적 마인드가 필요한 시점이다.
 

스타리치 어드바이져는 기업의 다양한 상황과 특성에 맞춰 법인이 가지고 있는 위험을 분석한 사례를 통해 최적화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 내용으로는 사내근로복지기금, 가지급금 정리, 임원퇴직금, 제도 정비, 명의신탁 주식, 기업부설연구소, 직무발명보상제도, 기업 인증, 개인사업자 법인전환, 신규 법인 설립, 상속, 증여, ESG 경영, 기업가정신 플랜 등이 있다.

한국경제TV
원문보기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507010733

출처 ⓒ 한국경제TV(http://www.wowtv.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유택 기업컨설팅 전문가

  • 現) 스타리치 어드바이져 기업 컨설팅 전문가
  • 現) 전자신문 기업성장지원센터 전문위원
  • 前) 조세일보 기업지원센터 전문위원